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2015.01.25】05-2 돌로 쌓은 가장긴 금정산성 성곽길 따라 오르는 금정산 산행길.....

◐ Climbing[2015] /├ ⑤ 경상도 권역

by 순도리(칠이) 2015. 2. 3. 06:30

본문



▣ 한국의 100대 명산 금정산[금정산성]



 

 

      ○ 금정산성[金井山城] 사적 제215호 길이 18,845m, 성벽 높이 1.5∼3m, 총면적은 약8.2㎢의 국내에서 가장 규모가 큰 산성이다. 행정 구역상 금정구, 북구, 동래구, 경남 양산시와 성벽을 기점으로 경계[境界]하고 있으며 산 능선을 따라 성을 쌓았다. 임진왜란의 혹독한 피해를 입은 동래부민[東萊府民]이 난[亂]에 대비하기 위하여 쌓은 피난겸 항전성[抗戰城]이다. 건립연대는 정확히 알지 못하나 위치 및 규모 등으로 보아 삼국시대에 처음 축성된 것으로 추측된다. 존하는 산성은 경상감사 조태동의 건의에 의하여 숙종29년[1703]에 동래부사 박태항, 이야가 성을 쌓았고, 숙종33년[1707]에 동래부사 한배하가 중성을 새로 쌓았으며, 순조8년[1808] 동래부사 오한원이 무너지고 없어진 성을 고쳐 쌓았다. 금정산성을 지키는 일은 동래부사가 맡았으며, 유사시에는 동래, 양산, 기장 삼읍[三邑]의 군인과 승려들이 차출되어 방어토록 되어 있었고, 평상시에도 산성내에 있는 국청사, 해월사[현재는 존재하지 않음]의 승려 100여명과 범어사 승려 300여명으로 성을 지키도록 하였다. 금정산성은 그 후 뚜렷한 보수 없이 부분적 손질로 유지되어오다 일제강점기에는 일본을 경계한 군사용 건물이라는 이유로 군관아건물[軍官衙建物]은 훼손되고 무기 또한 몰수당하였다. 산성의 보수정비는 사적으로 지정된 이후인 1972년 동문과 남문, 1973년 서문, 1986년 북문을 복원하였고, 1976년∼1979년 제1망루, 제2망루, 제3망루, 제4망루를 복원하였으며, 붕괴·훼손된 성곽보수 등 금정산성 정비계획에 의거 연차적 사업으로 지속적으로 보수 정비하고 있다.금정산성은 금정산의 수려한 자연경관과 천년고찰인 범어사와 더불어 우리고장의 문화유적지이며 관광명소이자 선열들의 나라사랑 정신이 깃 든 역사의 산 교육장으로 시민 모두가 아끼고 가꾸어 나가야할 소중한 문화유산이다 , <〓 더불 클릴 하시면 구굴지도와 등산지도 보실수 있습니다..

 

. 이른 새벽에 시작된 금정산 산행길

처음으로 가방 내려 놓고 휴식을 즐긴 대륙봉 이곳에서 준비해온 과일과 음료수 보충하며 이야기 나눔니다.

잠시 잠깐이였지만 충분한 휴식이 되였으며 다시 출발 합니다..

가방을 둘러 매고는 주변의 풍경을 몇장 남겨봅니다..  

 

 

 

 

 

. 아직 까지도 여명이 밝아 오지는 않은듯

박무로 인한 시야 오늘 만큼은 별로 이쪽 방향은 온천장 방향으로 보여지건만 알수 없을 정도이니 아쉽다. 

 

 

 

 

 

. 이젠 평평바위로 불리는 대륙봉 정상석 있는곳을

올려다 보면서 인증 사진 한장더 남긴다. 

 

 

 

 

 

. 금정구 소방소에서 설치해 놓은 조난위치

모든것을 알아 둘 필요는 없겟지만 조난위치 많큼은 기역해 두는 것이 좋을것입니다..

왜냐하면 급한 상황이 발생되면 조난위치를 설명 하는것이 최고로 빠른 방법이거든요...

그러면 119대우너들이 쉽게 찾아 온다.

또 한 오늘 포스팅은 제3망루 지점 까지만 포스팅 됩니다.

제3망루 찾기 어려워 그냥 지나쳤거든요,,? 

 

 

 

 

 

. 대륙봉에서 얼마쯤 조금 온듯한대 앞에 나타나는 지점은

“산성고개”이지점은 이른 아침에 택시로 넘어간 지점이며 사진상 우축으로 온천장 방향으로 버스 종점 정류장이 있으며

택시든 버스든 산성고개라면 다 알아 차린다. 바로 버스 정류장도 있다.

이곳은 약간의 주차 가능한 장소와 화장실도 설치 되어있습니다...

온천장~산성고개 까지 택시타고 올라오면 기본요금 조금더 나올것이다..

 

 

 

 

 

. 산성고개를 위로 올라와 넘어 오면서 성고가길 따라 진행하면 된다.

잘 정리 정돈된 산성 성곽들을 보니 왠지 모르게 기분이 UP되는 느낌으로 상쾌해 진다... 

 

 

 

 

 

. 성곽길 다라 계속해 진행 하다보니 앞에 나타나는 성문이 하나 보인다.

이곳이 동문이며 일제강점기 당시 산성내 관아건물, 군기고, 무기고,등을 파괴 하였으나 1971년 문화재 지정하여

1972년 동문과 남문을 건립 하였으며 1976년 낙뢰로 인한 붕괴된 동문을 1980년에 보수 하였다고 한다..

그후 지금까지 유지 보수 관리로 인해 잘 보전되고 있더군요,

정말로 산전 수전을 무두다 격은 성문이내요... 

 

 

 

 

 

. 동문으로 다가 가면서 좌축 아래로는 관리동이 잇으면서 수목원 같은 분위기로

많은 나무들이 수목되어 나름대로 볼만한 느낌을 받았습니다..

아마도 봄이면 이곳에도 꽃들이 많이 피여나지 않을까 상상해 보기도 합니다. 

 

 

 

 

 

. 금정산성 동문[金井山城 東門]

 

금정산 주능선의 해발415m의 고개에 위치하고 있으며 전망이 아주 뛰어나고, 주민들이 가장 근접하기 쉬워

금정산성의 으뜸 관문으로 자리하고 있다. <금정산성 부설비>의 기록에 의하면 “1807년(순조7년) 늦가을에

토목공사를 일으켜 한달만에 동문이 완성되었다”고 한다. 동문은 홍예식문[虹霓式門]으로

정면 3칸, 측면 2칸의 팔작지붕의 단층문루이며 문폭은 300cm, 홍예의 높이는 340cm이다.

동래부사 정현덕[1867~1874]이 동문과 서문의 재건에 힘을 쓰고 있을 때의 이야기가 있다.

그는 두 성문을 아주 완벽하게 세우기 위해 이름난 석공을 수소문한 끝에 사제 지간인 두 석공을 찾아 스승에게는 동문을,

제자에게는 서문을 짓게 하였다. 동문을 맡은 스승은 야욕과 욕심이 많아 웅대하게만 짓고자 하였으나

서문을 맡은 제자는 기술이 앞서 정교한 아름다움을 살려 스승보다 먼저 짓게 되었다고 한다.

스승은 제자의 뛰어난 기술을 시기하고 질투하여 그 당시 사람들은 그 스승을 미워하고 제자의 기술을 칭송하였다.

그러나 이들 사제는 동문과 서문 공사가 끝난 뒤에는 힘을 합쳐 밀양 영남루 공사를 하였다는 이야기가 전해지고 있다.

 

※ 코스 : 가나안 수양원 → 파리봉[615m] → 제1망루 → 상계봉[640m] → 망미봉[605m] → 남문 → 제2망루

→ 대륙봉[520m] → 산성고개 → 동문 → 제3망루 → 제4망루 → 의상봉[641m] → [687m] → 북문

→ 고당봉[금정산 801.5m] → 금샘 → 북문 → 금강암 → 범어사 [약17km 7시간 40분 소요] 

 

 

 

 

 

. 사적 제215호 금정산성 동문[史蹟 第二十五號 金井山城 東門] 

 

 

 

 

 

. 전형적인 아치형[홍예식문] 으로 다르다는 느낌을 받지는 않앗습니다..

또한 관리 흔적을 간간히 보이더군요,,

 

 

 

 

 

. 동문 안으로 들어가 수목원 방향으로 한장 남겨 봅니다.

이렇게 보면 가을 분위기도 살짝 보여주내요..

 

 

 

 

 

. 나무들을 살펴 보묜 이미 물올라왔다고 해야 하는가요.?

파란색을 띠는것을 보면 새싹들이 나오는 느낌이 들지 않나요, 처음 산행길에는 오늘 진달래 핀것도 보았거든요.. 

 

 

 

 

 

. 이재는 이곳에서 화장실도 보고 그랬으니 북문 방향으로 방향 잡습니다.

북문 4.2km, 고당봉 5.2km 남았다고 하는데 앞으로 가면서도 이런 거리표자주 보게 되더군요....

 

 

 

 

 

. 보호 차원에 CCTV도 설치 되어 있더군요.

깔끔하다는 느낌으로 기분 좋은 상태로 출발 합니다...

 

 

 

 

 

. 성곽길도 아름답게 곡선미를 살려 보존 되고있내요..

앞으로가 더 중요한것 같다. 

 

 

 

 

 

. 이곳에서 바라보는 방향은 서문 방향으로 멀리 서쪽성곽을 바라보지만

보이지는 않아도 오늘 찾은 코스중에 저곳까지는 가지 못할것이다.

 

 

 

 

 

. 다시 이런길을 따라 가면 성곽길이다.

이곳 주변에는 잘 복원되어 그나마 걷기도 참 좋앗던것 같다. 

 

 

 

 

 

. 가던길에 이재부터는 갈맷길 7-1구간으로 함께 이동 하지만

성곽길이 아닌 둘레길을 따라 올라가야 합니다.. 

 

 

 

 

 

. 이곳도 마찬가지로 동문에서 약 500m 올라온것 같은데

아직도 고당봉 까지는 5.2m 남았다는 이정표 언재 까지 제자리인가요..? 

 

 

 

 

 

. 가던길에 샘물이 있내요

음용 가능한것 같더군요, 지나는 사람들 이곳에서 식사 하는분도 보이며 물통에 받아 가는분 들도 있더군요. 

 

 

 

 

 

. 동문 에서 얼마 않온것 같은데 익소은 2.2km나 왔내요..

그냥 앞만 보고가는것을 선택해야 할것 같내요...

샘물 나오는 부분에 이정표 입니다.. 

 

 

 

 

 

. 앞에 이정표 보이는 부분이며 이정표 되로는 샘물이 있는 곳이다. 

 

 

 

 

 

. 작은 고개지만 넘으면서 뒤돌아 바라 봅니다.

멀리 사진상으로 보면 약간 우축으로 바위들이 있는 봉우리가 보일것이다.[높은곳..]

바로 그곳이 처음 어둠을 뚫고올라온 파리봉이며 지나온 봉우리들 입니다..

참으로 멀리도 왔습니다.. 

 

 

 

 

 

. 고개에서 앞으로 진행할 성곽길도 바라보면서 멀리 보이는 루각 하나 보인다.

바로 저곳이 제4망루 있는 곳이나

여기서 우축으로 좀 길찾기 난감한 부분을 올라가야 제3망루를 볼수있는 곳인데

모르고 지나처 버렸다.  

 

 

 

 

 

. 지나면서 멋진 바위 한장 사진 남기구요.

멀리 뒤로는 부산 노포역 방향입니다,. 물론 우리들이 첫발걸음 을 내려놓으곳 다시 저곳에서 귀가 할것이다. 

 

 

 

 

 

. 제3망루 지점 우축으로 보이지를 않아 그냥 지나칩니다.

제3망루는 정면 2칸, 측면 1칸의 맞배지붕으로 동문 약 1㎞지점에 깎아 세운 듯한 낭떠러지 암벽 위에 있으며,

주변에 나비바위, 부채바위 등이 천구만별로 불리는 기암괴석들과 어울려 매우 아름답다.

 

 

 

 

 

. 정상적인 등산로아니 성곽길을 따라있는 등산로를 선택 합니다..

그러기 위해 우축으로 약간 올라섰지만 3망루는 보이지 않아 지나간다.

사실은 산행을 마치고 생각 한것이다.[제3망루 못 본것을...] 

 

 

 

 

 

. 지금 보이는 장소 암릉구간의 뒷편에 제3망루가 있는것을 못본것이다.

지금 보니 나비바위, 부채바위들을 알수 잇을것 같다 바로 그런 바위 아래로잇다. 

 

 

 

 

 

. 몰라서 찾지 못했으니 그런것들 모두 잊고 진행 합니다....

성곽길을 선택해 따라 올라갑니다. 

 

 

 

 

 

. 가던길에 이런 바위들이 가로 막고 있어도 사이로 돌아가면서 성곽을 이어집니다. 

 

 

 

 

 

. 돌아서 넘어와 뒤돌아 본 성곽길 성벽들

능선을 따라 성벽이 이어지지만 이런 성벽길이 약 18km나 된다고 합니다.

우리나라에서 최장거리 성벽이라 하내요... 

 

 

 

 

 

. 일행한분 앞서기 시작 합니다..

계속해 성곽길을 따라 올라가면 됩니다.. 앞에 보이는 곳을 넘으면 제4망루를 만나게 된다. 

 

 

 

 

 

. 또 뒤돌아 보면서 산성의 성곽길을 감상하기 좋은 장소임을 알수 있게 하는 장소 입니다.

오늘은 이곳까지 준비 하였으며 금정산성에 4대문과 4망루가 있다는 사실에

제3망루를 찾지 못해 아쉬움을 않고 다음 포스팅 준비 할렵니다..

여기까지 읽어주시며 방문하여주신 불친님들에게 깊은 감사드립니다..

이젠 입춘도 다가왔내요 봄맞이도 준비해야 할것 같아요...

 

 

 

 

 


관련글 더보기

댓글 영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