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2013.03.01】09-1 서울의 중심지를 둘러쌓은 도성 한양도성의 옛 정취를 찾아서..

◐ Climbing[2013]/├ ③ 서울시 권역

by 순도리(칠이) 2013. 3. 18. 16:51

본문



▣ 서울 한양도성 성곽길



 

 

. 사적 10호 서울 한양도성[漢陽都城]


    서울의 주위를 둘러싸고 있는 조선시대의 도성[都城)]이다. 조선건국 초에 태조가 한양으로 수도를 옮기기 위하여 궁궐과 종묘를 먼저 지은 후, 태조 4년(1395) 도성 축조 도감을 설치하고 한양을 방위하기 위해 성곽을 쌓도록 하였다. 석성과 토성으로 쌓은 성곽에는 4대문과 4소문을 두었다. 4대문은 동의 흥인지문, 서의 돈의문, 남의 숭례문, 북의 숙정문이고, 4소문은 동북의 홍화문, 동남의 광희문, 서북의 창의문, 서남의 소덕문을 말한다. 동대문에만 성문을 이중으로 보호하기 위한 옹성을 쌓았고, 북문인 숙정문은 원래 숙청문이 었는데 이 숙청문은 비밀통로인 암문으로 문루[門樓]를 세우지 않았다. 세종 4년[1422]에 대대적으로 고쳤는데, 흙으로 쌓은 부분을 모두 돌로 다시 쌓고 공격, 방어 시설을 늘렸다. 숙종 30년[1704]에는 정사각형의 돌을 다듬어 벽면이 수직이 되게 쌓았는데 이는 축성기술이 근대화되었음을 보여준다. 이처럼 서울 성곽은 여러 번에 걸친 수리를 하였으나, 쌓는 방법과 돌의 모양이 각기 달라 쌓은 시기를 구분할 수 있다. 일제시대에는 도시계획이라는 구실로 성문과 성벽을 무너뜨렸고, 해방과 한국전쟁으로 인해 더욱 많이 파괴되었다. 현재 삼청동, 장충동 일대의 성벽 일부와 남대문, 동대문, 동북문, 홍예문만이 남아있다. 서울 성곽은 조선시대 성 쌓는 기술의 변화과정을 살펴볼 수 있는 좋은 자료이며, 조상들이 나라를 지키려는 호국정신이 깃든 귀중한 문화유산이다. ※ [서울성곽 → 서울 한양도성]으로 명칭변경 되었습니다.[2011.07.28 고시]

 

. 독립문 → 창의문 → 숙정문 → 혜화문 → 흥인지문

 

 

 

 

 

 

 

 

 

 

 

 

 

 

 

 

 

 

 

 

 

 

. 사진의 귀제를 많이 받는 곳이라 간단히 올려 보도록 하겠습니다....

김신조 사건 소나무와 함께 인증 사진을 담아 보면서 1부를 정리합니다...

감사합니다...

 

 


관련글 더보기

댓글 영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