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묘표는 이수[螭首] 비신[碑身] 비좌[碑座]로 되어 있다.
이수와 비신은 백대리석 하나로 만들어 화강맘으로 만든 비좌에 꽂아 놓았다.
묘표[墓表], 묘비[墓碑], 묘갈[墓碣]등이 있는대 어떤 뜻인가 알아 본다.
※ 묘표[墓表] : 죽은 이의 이름, 생몰 연월일, 행적 등을 새기어
무덤 앞에 세우는 푯돌이나 푯말 이다
※ 묘비[墓碑] : 무덤 앞에 죽은 사람을 기릴 목적으로 세우는 비석,
죽은 사람의 신분, 성명, 행적, 자손 관계, 나고 죽은 때 등을 새긴다.
※ 묘갈[墓碣] : 머리 부분을 둥그스름하게 다듬어 무덤 앞에 세우는 작은 비석,
죽은 사람의 이름, 세계, 행적, 출생 및 사망의 연월일, 자손의 대략적 상황 등을 새겨 놓는다.
더쉽게 알수있는 방법은
♧ 묘표[墓表] : 누구의 묘인가를 알리려고 세운 석물[石物]이다.
♧ 묘비[墓碑] : 옛 한나라나 당나라 구분대로 4품[品] 이상은 거북 등에
비신[碑身]을 얹고 용머리[龜趺螭首]를 장식한 것이다,
♧ 묘갈[墓碣] : 5품[品] 이하 벼슬아치에게 허용된, 아래는 네모지고 위는 둥글게 한 것[方蚨圓首]이다.
묘 옆이나 길 입구에 행장을 기록하여 세워 놓은것 비[碑]는 주로 신도비 이다.
댓글 영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