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2012.06.17】얼울한 누명으로 29세로 비운을 맞이한 충장공 김덕령 충장사[忠壯祠] 찾아서...

◈ Travelog/⊙ 고찰 문화재

by 순도리(칠이) 2012. 6. 30. 00:48

본문



▣ 충장공 김덕령 봉안된 충장사[忠壯祠]



 

 




    ○ 충장사[忠壯祠] 충장공 김덕령[忠壯公 金德齡] 광주광역시 북구 금곡동에 있는 사당으로 임진왜란 때 의병을 일으킨 충장공[忠壯公] 김덕령[金德齡, 1567~1596]의 충절을 기리기 위하여 건립하였다. 1975년 2월 조성되었으며, 경내에는 김덕령의 영정과 교지가 봉안되어 있는 사우 충장사, 동재와 서재, 은륜비각과 해설비, 유물관, 충용문, 익호문 등이 세워져 있다. 유물관에는 중요민속자료 제111호로 지정된 '김덕령장군' 의복과 장군의 묘에서 출토된 관곽, 친필 등이 전시되어 있다. 사당 뒤쪽 언덕에는 김덕령의 묘와 묘비가 있으며 가족묘도 조성되어 있다. 김덕령은 임진왜란 때 담양에서 의병을 일으켜 용맹함으로 이름을 떨쳤으며 왜군과의 전투에서 민첩하고 탁월한 능력을 보였다. 1596년(선조 28) 적장과 내통한다는 무고로 체포되었으며 같은 해 옥에서 억울한 죽임을 당하였다. 그뒤 영조 때 무죄가 밝혀져 병조판서로 추증되었다.

 

 


 

 

. 무더위 속에 육월을 보내며 이른듯 수련은 얼굴을 살포시 내밀기 시작 하는군요.

시원한 작은 호수와 함께 비운에 죽움을 달리 하신 충장공 김덕령장군의 흔적을 더듬어 보겠습니다.

 


 

. 홍살문으로 이곳의 신성한 장소임을 알리고 있습니다..

전면으로 보이는 건물이 "충장사 유물관"입니다.

 


 

. 신도비.

내용은 아마도 김덕령의 설화가 많이 알려져 있는것으로 보아

설화 내용이 들어 있지 않을까 한다.. 시간 관계상 그냥 지나친다. 

 


 

. 충장공 김덕령의 업작과 양력이 들어있는 비. 충용문 앞 마당건너에 있다.

 


 

. 충장사 건립 공적비[忠壯祠 建立 功績碑] 입니다.

 


 

. 충장공 김덕령 유물관 내부로 들어가 보겠습니다.

 


 

. 충장공 김덕령의 유물관임을 입구에서 처음 만나게 된다.

 


 

. 의병 활동 당시 입고 있었다는 의복에 관한 설명이였다.

 


 

. 김덕령 장군의 활동상을 설명해 놓은것..

앞으로 사진을 보시다 보면 이어져서 나올것입니다...

 


 

. 관곽

시신을 모셨던 내관과 외곽 발굴 당시 발견된것 입니다..

 


 

. 김덕령 장군이 입었던 의복들

실물로 전시 되어 있었다. 사진은 생략... [화질이 떨어져서....]

 


 

. 좌축 위부터 나열 하겠습니다..

주검동[鑄劒洞] : 무등산 원효계곡에 제철유적지.

충정공 부인 홍양이씨 순절지 : 담양 추월산 보리암 근처 절벽.

충효리 정려비각 : 충효동 마을 앞에있는 비각.

풍암정[楓巖亭] : 무등산 원효계곡에 동생이 애통해 지은 정자.

취가정[醉歌亭] : 무등산 원효계곡 하류에 있는 정자.

충장로[忠壯路] : 광주에 자장 중심가 시호를 붙여 1947년 부터 부르고 있다.

이와 같이 충장공에 관련된 사연들이 많이 있었다.

유물관 전시물들이 였으며 충장사로 들어 갈것입니다.

 


 

. 충용문[忠勇門] 외삼문 이라고도 하며 처음 만나는 입구 문이다.

 

선조가 장문포와 정암 전투에서 왜군을 크게 물리친 장군의 의용부대에 충용군이라는 부대이름을

내린것을 상징하며 건물은 삼량초익공 형식으로 ,훗처마맛배집 평삼문 형식이다.

 


 

. 충용문을 들어서면서 익호문을 바라 본다 앞마당에도 넒은공간과 좌,우로 각 서재가 보인다.

 


 

. 김덕령 [金德齡, 1567~1596]

 

본관 광산. 자 경수[景樹]. 시호 충장[忠壯]. 광주[光州] 석저촌[石低村] 출생. 임진왜란이 일어나자

담양부사 이경린[李景麟], 장성현감 이귀[李貴]의 천거로 종군 명령이 내려졌으며,

전주의 광해분조[光海分朝]로부터 익호장군[翼虎將軍]의 군호를 받았다.

1594년 의병을 정돈하고 선전관이 된 후, 권율[權慄]의 휘하에서 의병장 곽재우[郭再祐]와 협력하여,

여러 차례 왜병을 격파하였다. 1596년 도체찰사 윤근수[尹根壽]의 노속[奴屬]을 장살[杖殺]하여 체포되었으나,

왕명으로 석방되었다. 다시 의병을 모집, 때마침 충청도의 이몽학[李夢鶴] 반란을 토벌하려다가 이미 진압되자

도중에 회군하였는데, 이몽학과 내통하였다는 신경행(辛景行)의 무고로 체포 구금되었다. 혹독한 고문으로

인한 장독[杖毒]으로 옥사하였다. 1661년[현종 2] 신원되어 관작이 복구되고, 1668년 병조참의[參議]에 추증되었다.

1678년[숙종 4] 벽진서원[碧津書院]에 제향되었고, 1681년 병조판서에 가증[加贈]되었다.

영조 때 의열사[義烈祠]에 형 덕홍[德弘], 아우 덕보[德普]와 병향[竝享]되었고, 1788년[정조 12] 좌찬성에 가증되었다.

1974년 광주 충장사[忠壯祠]를 복원하여 충훈을 추모하고 있다.

생애와 도술을 묘사한 작가, 연대 미상의 전기[傳記]소설 《김덕령전》이 있다.

 

※ 석거촌 : 광주광역시 북구 충효동 성안마을 이다.

 


 

. 우축으로는 동계 있다.

 


 

. 좌축으로는 서계 있다.

 


 

. 익호문[翼虎問] 내삼문 이라고도 하며 2번째로 들어가는 문이다..

 

장군의 의병 5천명을 모아 활동을 시작하자 나라에서 선전관에 임명하고 익호장군의 호를 내린것을

상징하며 건물양식은 맛배기와 지붕과 솟을 삼문 형식으로 되어있다.

 


 

. 익호문[翼虎問] 을 들어서니 앞에는 충장사 충장공 김덕령의 영정이 모셔진 사우[祠宇] 보인다.

영정 앞으로 가기전에 좌우로 들러 보면서 접근을 합니다.

 


 

. 익호문[翼虎問] 들어서면서 우축으로 보면 은륜비[恩綸碑] 설명문이 있으며 뒤로는 비각이 있다.

 


 

. 김덕령 은륜비[金德齡 恩綸碑] 비각

비문

유명조선국숭정대부의정부좌찬성시충장행통정대부승정원승지충용장군김공덕령은륜비

[有明朝鮮國崇政大夫議政府左贊成諡忠壯行通政大夫承政院承旨忠勇將軍金公德齡恩綸碑]

은륜비각과 해설비 : 영단앞에는 헌종8년에 세워진 은륜비와 해설비가 있다.

 


 

. 충장사 영단으로 다가 왔습니다

간단한 예의를 표하며 내부를 둘러 봅니다. 

영단 : 장군의 위패와 영정이 봉안된곳으로 건물양식은 겹처마 팔작지붕형식이다.

 


 

. 임진왜란 최고의 용장 김덕령의 영정이 봉안되 있었다.

저도 향으로 제향을 올려본다.

 


 

. 충장사 영당 우축으로는 작은문이 하나보인다 아마도 그쪽으로 올라 가는 모양이다.

 


 

. 작은문으로 나오니 충장사 재실이라 합니다..입구 안내도 에도 나와있다.

이곳을 좌축으로 돌아서면 충장공 모셔진 묘지가 보입니다. 그길로 올라 갑니다.

 


 

. 충장공 묘지가 보인다. 그러나 이곳은 광산김씨 김덕령의 가족 묘지로 이루어져 있었다.

또한 이곳에는 명당이라는 설도 있었다. 그래서 가족이 한자리에 모셔진것 같다.

 

광주 충효동 배재 마을에 충장공 김덕령 장군의 선영이 있는 곳은

손석우옹이 “터”에서 언급해 놓은 장군대좌형. 중국의 지관이 잡은 자리를 충장공의 아버지께서

조부 묘를 쓰게 된 사연을 “터”에 이야기 해 놓았다. 광주와 무등산은 충장공 김덕령 장군의 많은 사연을 간직한 곳이다.

광주하면 충장로인데 바로 충장공의 시호를 따 온 것이고 무등산에는 훈련을 했다는 곳이 전해 내려오는 곳이다.

우선 이곳 묘역에서 정혈은 증조부 우 와 조부 윤효 께서 정혈에 들어 있으며. 또 충장공의 모친께서 정혈을 차지하고 있다.

스물 아홉 젊은 나이에 요절한 김덕령 장군 지금 수만 광중에서 억울한 통곡을 하고 있다.

이곳 묘역에는 충장공 김덕령 장군에서부터 고조부까지 모두 있어 확인해본다.

[아래 문화제 해설사에게 확인 할것이다.]

 


 

. 바로 앞면에 보이는 묘지가 충장공 김덕령장군[忠壯祠 金德領將軍]의 묘지입니다.

 


 

. 묘지 앞에와 보니 임진왜란 비운의 의병장 김덕령의 묘에는 특이하게도 장명등이 있다.

 


 

. 의병장 김덕령장군의 묘지로써는 좀 달리 보인다.

무인석 옆에는 석마가 있어야 하는대 양을 닮은 석양이 자리 하고 있었다.

또한 망주석도 위치가 맞는지도 궁금해집니다..

 


 

. 좌축은 충장공 김덕령의 묘비.

우축은 부인인 홍양이씨의 묘비 인대

아마도 묘비가 함께 있는것으로 보아 합장묘 인듯 합니다...

 


 

. 장명등 설치되 있었습니다..?

왕릉 외 에는 장명등을 보지 못하였으나 이곳에는 설치 되있는것이 이상히 여겨 

문화재 해설사에게 문의 하여 보았더니 광산김씨 문중에서 전해 오는 이야기 로는

"젊은 나이[29세]로 비운을 맞이한 충장공의 뜻을 밝히라는 의미로"

설치 도있다고 한답니다. 좀 이상한 논리 인듯하나 의병장의 업적으로 보아

그렇게 해석 하여도 손색이 없어 보였습니다..

 


 

. 충장공 묘지 앞에서 주변들 묘지들과 함께 보았습니다.

우축으로 보이는묘들은 조부묘 부터 뒤로는 증조부묘. 동생 덕보묘 로 이루어져 었다.

 


 

. 장명등 사이로 영정이 모셔진 충장사 바라 본다.

 


 

. 석양으로 보이는대 무인석과 함께 있는것이라면 석마가 맞을것입니다..

무인석은 신성한 곳임에도 불과 하고 엄습해 보이기만 하내요..

 


 

. 관련이 있는지는 모르나 8각 작명등과 4각 작명등이 있는대

4각 장명등 보다는 8각 장명등이 맵시가 아름답게 보인다. 

 


 

. 혼유선과 고석들 운치가 아름답게만 보이며.

고유 문화적 가치를 느길수 있는것 같아 보인다.

 


 

. 부인과 합장된것 같으나 비석은 각자 다르게 만들어 써놓았다.

 


 

. 충장공묘 앞에서 충장사를 내려다보니 중국 사신들 까지정혈 명당이라고 감탄한 묘지터..

아무것도 모르는 제가 보아도 명당으로 보인다...

 


 

. 충장묘 아래로 내려와 올려다 본다. 이런길을 왕릉에서는 참도라 하는대

뭐라고 하여야 할까 망설여 진다.

 


 

. 충장공묘를 내려서면서 다시 바라봅니다..

잡풀들 속에 있는 묘지들이 알아보기가 힘들군요..그럼에도 충장공 묘는 또렸합니다.. 

 


 

. 담길넘어로 들여다본 충장사 지금도 방문객이 있군요 아이들과 함께 찾아온듯 합니다..

 


 

. 문 안으로는 서계와 동계 있는곳으로 들어가는 문이며 앞에는 동계가 보입니다..

 


 

. 운치를 느낄수 있는 충장사 담길 가을이면 더좋은 그림이 나올것 같다.

 


 

. 충장사 안내도 이상한 배치로 인해 문화재 해설사에게 알아본바 토대로 만들었습니다.

 

1 : 충장공 김덕령묘, 2 : 형 덕홍묘, 3 : 동생 덕보묘 4 : 부 김봉섭묘, 5 : 모 남평반씨묘,

6 : 조부. 모묘 7 : 증조부.모묘, 8 : 고조부.모묘 9 : 신도비, 10 : 공적비, 11 : 충정공 김덕령 유물관,

12 : 충용문, 13 : 서계, 14 : 동계, 15 : 익호문, 16 : 충장공 은륜비, 17 : 충장사, 18 : 제실,

 

혹여 묘지 배치된 부분이 틀렸다면 알려 주시면 저에게도 좋은 정보가 될것 같습니다...

 


 

. 충장사 입구 안내도와 충용문을 담아 보면서 충장사 탐방을 마무리 할렵니다...

 


 

. 충장사 김덕령장군 사우[忠壯祠 金德領將軍 祠宇]

우리는 위인들 하면 생각나는 인물은 장보고, 이순신 임경업 장군등으로 떠올린다.

그러나 조선 임진왜란때 이름을 떨쳤던 비운의 영웅이 한분 또있다 . 바로 의병장군 김덕령 장군이였다.

 


 

 



관련글 더보기

댓글 영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