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2014.05.24~25】경주 수학여행의 최고의 장소로 신라 천년고찰 불국사 편입니다..

◈ Travelog/⊙ 출사 여행지

by 순도리(칠이) 2014. 6. 6. 05:30

본문



▣ 경주 최고의 부자였던 최씨 고택



 

    ○ 경주 교동 최씨 고택[慶州 校洞 崔氏 古宅] 중요민속자료 제27호 이 가옥은 경주 최씨[慶州 崔氏]의 종가로 1700년경에 건립되었다고 한다. 월성[月城]을 끼고 흐르는 남천[南川] 옆 양지바른 곳에 자리 잡았고, 문간채, 사람채, 안채, 사당, 고방으로 구성되어 있다. 원래는 99칸이 였었다고 하는데 사랑채와 별당은 1970년에 불타고 주춧돌만 남았다. 안채는 "ㅁ"자 모양이고 대문채는 "ㅡ"자 모양이다. 사당[祠堂]은 사랑채와 사당으로 이용된 별당 사이에 배치되어 공간적 깊이를 느끼게 한 특징이 있다. 조선시대 양반집의 원형을 잘 보존하고 있어 가치가 크다. 최씨 집안이 경주시 내남면 이조리에서 이곳 교동으로 이주하여 정착한 것은 조선 중기 무렵이다. 여기에서 12대 동안 만석지기 재산을 지켰고, 학문에도 힘써 9대에 걸쳐 진사[進士]를 배출 하였다고 한다.

 

 

 

 

 

 

 

 

 

 

 

 

 

 

 

 

 

 

. 저희들 방문으로 지금도 고택에서 살고 계시는 할머니는 잠에서 일어나시면서

인기척을 하시며 방가워 하시더군요,, 그럼에 조심 스럽게 방문 하였지만 오히려 저희들에게 지장을 줄까봐

바려해 주시던 최씨 종가 며느리로 현재도 지키고 계시더군요,, 연세는 지긋하신 할머님 요즘 감기로

건강이 않좋아 보이시더군요,,,   

 

 

 

 

▣ 신라 천년 고찰 경주 불국사



 

    ○ 경주 불국사[慶州 佛國寺] 사적 제502호 불국사는 신라 경덕왕[景德王] 10년[751]에 재상 김대성[金大城]이 발원하여 개창되고. 혜공왕[惠恭王] 10년[774]에 완성 되었다. 조선 선조[宣祖] 26년[1593] 임진왜란 때 의병의 주둔지로 이용된 탓에 일본군에 의해 목조 건물이 모두 불타 버렸다. 그 후 대웅전 등 일부를 다시 세웠고, 1967~1973년 처음 건립 당시의 건물터를 발굴조사하고 대대적으로 복원하여 현재의 모습을 갖추게 되었다. 동서 길이 90여m 되는 석축과 청운교[靑雲橋], 백운교[白雲橋], 위에 자하문, 대웅전, 부설전이 남북으로 놓였고, 석가탑[釋迦塔], 다보탑[多寶塔이 서있다. 그 서쪽에 연화교[蓮華橋, 칠보교[七寶橋], 안양문과 여래좌상 금동아미타불을 모신 극락전이 잇다. 무설전 뒤편에는 금동비로자나불상을 모신 비로전과 관음전이 있다. 불국사는 화려하고 장엄한 부처의 나라를 이 땅에 세워 찬미하던 수도자들이 불도를 닦던 곳이다. 풍부한 상상력과 예술적인 기량이 어우러진 신라 불교 미술의 정수로, 1995년 석굴암[石窟庵]과 더불어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 목록에 등재되었다.

 

 

 

 

 

 

 

 

 

 

 

 

 

 

 

 

 

 

 

 

 

 

 

 

 

 

 

 

 

 

 

. 경주 수학여행 하면 최고로 많이 다녀오신 경주 신라의 천년고찰 불국사

이렇게 행사중에 꼭 들어있는 행사로 참여 친구들이 만족감에 흐믓 하였었지요...

뮬론 재안을 하였으나 적극적으로 추진을 하신 동창회장님에게 깊은 감사를 드리며..

아래 링크는 불국사에 관한 포스팅이 잇어 링크해 놓았습니다..

들어가 보신다면 귀한자료 옛사진으로 불국사를 보실수 있을것입니다.. 꼭 들러 보셔요,,

 

 

※ ◐【2012.11.25】불국사 연화교, 칠보교 옛사진 [꼭 들러 보셔요] 클릭 하셔요.

※ ◐【2012.11.25】사적 502호 경주 불국사   1   [꼭 들러 보셔요] 클릭 하셔요.

※ ◐【2012.11.25】사적 502호 경주 불국사   2   [꼭 들러 보셔요] 클릭 하셔요.

※ ◐【2012.11.25】사적 502호 경주 불국사   3   [꼭 들러 보셔요] 클릭 하셔요.

※ ◐【2012.11.25】사적 502호 경주 불국사   4   [꼭 들러 보셔요] 클릭 하셔요.

 

 

 

 

 


관련글 더보기

댓글 영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