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2013.-6.16】구름 내려앉은 호젓한 호수에 한반도섬이 아름다운 운치를 만들어 낸다.

◈ Travelog/⊙ 출사 여행지

by 순도리(칠이) 2013. 7. 1. 23:23

본문



▣ 양구 한반도섬



 

 

. 파라호[破虜湖] 인공습지 한반도섬


    서울사람들은 이곳을 북한강이라 부르고, 춘천사람들은 춘천호라 부른다. 춘천댐이 만들어지면서 탄생됐기 때문이란다. 그런데 화천사람들은 이 곳을 화천강이라 부른다. 서로의 자존심 때문이겠다.그러나 화천 발전소가 1946년 일제에 의해 건설된 발전소이며. 특이한 것은 댐을 통해 발전을 일으키는 구조가 아니라 커다란 산을 뚫어 그 낙차를 이용한 발전하는 구조로 만들어졌다. 이 발전소 탈환을 위해 한국전쟁 당시 중공군이 3만 여명 수장됐다고 해서 깨뜨릴 파[破], 오랑캐 로[虜]를 써서 파로호라 이름지었다. 파로호라는 이름을 얻었다. 그외 파라호 에는 ▲ 첫번째 : 꺼먹다리 라는 곳이다. 일제가 화천 발전소를 만들면서 자재 운반을 위해 놓은 다리다. 그러나 교각과 다리색이 까만색이라 꺼먹다리라 부른다. 강줄기를 가로 지르는 구만교와 꺼먹다리가 명물. 구만교는 일제 때 공사를 시작했다. 이후 구 소련과 북한이 교각을, 화천군이 상판을 놓은 4개국 합작품이다. 1945년 화천댐 준공과 함께 만들어진 꺼먹다리는 나무로 만든 상판이 검은 타르를 뒤집어쓰고 있다. 영화 <전우>와 <산골 소년의 사량이야기>의 배경이 된 근대문화유산이다. ▲ 두번째 : 화천댐이다. 발전 목적이 아닌 물만 가두고 있는 기능만 한다. 발전은 옆 산을 뚫어 그 낙차를 이용해 한다. 댐 가운데 쯤 위치에 뚫린 구멍은 평화의 댐 건설을 목적으로 물을 빼기 위해 1986년 뚫어 놓은 흔적이다. ▲ 세번째 : 산속의 바다 파로호이다. 한국전쟁 당시 3만여 명의 중공군을 수장 시켰다 해서 깨뜨릴 파(破), 오랑캐 로(虜)를 써서 파로호라 이름지었다. 그런데 왜 중공군들이 이 호수에 빠져 죽어야 했을까. 의문시 된다. 한국전쟁 당시 남한에는 발전소가 단 한 곳도 없었다. 파로호가 있는 화천군 간동면 구만리는 38선 이북 지방이다. 정전 후 전후 복구를 위해 발전시설이 필요했을 게다. 당시 정부는 서해안을 포기하는 한이 있더라도 이곳을 탈환해야 했단다. 북한도 같은 생각이었다. 북한은 인해전술이 특기인 중공군의 지원을 받았다. 어마 어마한 규모의 중공군. 국군은 이들을 일시에 소탕할 수 있는 방법을 생각했다. 포격보다 한꺼번에 몰살을 시키는 방법을 구상했다. 소이연막탄. 이 폭탄이 투하되면 연기인지 안개인지 모를 운무가 깔린다. 그런데 그 운무에 스치기만 하면 몸에 불이 붙은 것 같은 뜨거운 고통을 느낀다. 이 폭탄 운무에 맞은 중공군들이 호수로 뛰어 들었다. 서로 엉키고 설켜 3만여 명이 수장됐다는 이야기가 전해진다. ▲ 네번째 : 인공수초섬 [인공 습지] 화천군 간동면 구만리 파로호 배터. 그런데 물고기 모양의 섬은 뭘까! 인공수초 섬이다. 언제부터인지 파로호에 배스가 등장하더니 온통 배스천국으로 변했다. 토속어종 보호가 필요했다. 그래서 인공수초 섬을 만들고 20여억 원을 들여 어업권을 사 들였다. 토속어종의 번식을 위해서다. 이 파로호 줄기는 양구군으로도 연결된다. 아무리 화천군에서 토속어종 보호를 위해 어업권을 사 들이면 뭐하나. 양구군에서는 정치망이나 그물에 의한 어업이 허용된다. 토속어종 증식을 위해 인공수초 섬을 만들어 붕어나 잉어 등 토속어종들이 그곳에 알을 낳아 부화하면 배스가 기다렸다는 듯이 입을 벌리고 있지는 않을까 두렵다. ▲ 다섯본째 : 양구 한반도 섬 멀리 한반도 섬이 보인다. 육지의 섬. 봄 가뭄 때문에 섬이 땅위에 드러나 있는 것도 재미있다. 파로호는 강원 화천과 양구에 걸쳐 있는 인공 호수다. 1944년 북한강 협곡을 막아 축조한 화천댐으로 인해 생겨났다. 금강산에서 발원해 평화의 댐을 지나온 북한강 본류와 양구의 서천이 몸을 섞은 호수다. 파라호는 길고도 넓다. 물길이 백리가 넘고 장마 때 물이 불면 강처럼 보인다.

 

 

 

 

 

 

 

 

. 양구 시내에서 지방도 403번 도로 이용하여 공수리 가는 방향

중간 지점에 주차장과 함께 산중턱에 전망대 설치 되어 있으며

그곳에서 전망 할수 있도록 되 있습니다.

그곳에서 바라본 사진들 입니다.... 

 

 


관련글 더보기

댓글 영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