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대한성공회 강화성당
△. 대한성공회의 초대 주교인 존 코르페[C. John Corfe : 한국명 고요한]에 의하여 1900년[광무 4년] 건립되었다.
△. 용흥궁이 주변에 있어 공원 이름도 "용흥궁공원" 이곳에 유료 주차 하시면 주변으로 "용흥궁. 고려 궁지. 성공회 강화성당" 등이 있으며 가까이 있는곳이 성공회 강화성당과 용흥궁이다. 먼져 강화 성당을 들어간다.
△. 계단을 오르면서 "외산문. 내산문" 을 지나면서 만나게 되는 성당 "천주성전[天主聖殿]" 이라 현판 도있다.
△. 우축에 있는 초대 주교 고요한 기념비 [존 코르페C. John Corfe] 건립자 성공회 초대 주교다. 좌축으로 제3대 주교 조마가 기념비 [트롤로프] 직접 손수 터닦으며 백두산 원시림 적송을 강화 까지 운반 하여 도목수는 경북궁 신축때의 도편수 였던 분이 건립한것으로 나와있다. 그외 이곳 옆에는 얼마전에 축성100주년에 기념비도 세웠다.
△. 첫 만남이 의문을 갖지게 되는군요.. 동행인과 함게 이곳에서도 지금 예배를 보는 공간처럼 보여 분주희 주변을 살피지만 관리인을 만날수없어 들여다 볼수도 없고 열쇠로 잠그어 놓아 어쩔수없이 늦은 시간이라 그냥 둘러만 봅니다.
△. 밑으로 보이는 부터 외삼문. 내삼문 입니다. 내삼문에는 동종도 설치되 있어 방식은 모든것들이 불교 방식과 흡사해 보였습니다...
△. 건물 방식은 불교 방식으로 보여지면서 지붕 용마루 끝단에 설치해 놓은 십자가 눈길을 띄는군요.
△. 용마루 양쪽 끝단에 심자가 있는것으로 보아 분명한것은 성당이 맞아 보인다. 그러나 건물 양식은 처음 보는 불교양식 에전에 불친님들의 포스팅으로 보긴 했어도 실질적으로 만나게 되니 궁금증을 더하는군요.
△. 사제 앞대문 앞에서 성당 건물을 담아본 뒷면입니다.. 뒷문이 두곳이 있어 혹시나 열려 있으면 들어가 볼려 했으나 열쇠로 잠그어 놓았더군요..
△. 이곳이 사제관으로 담을 넘어 볼수있어 바라본다. 방에는 불이켜져 있었으며 방문앞에는 신발이 놓여져 있는것으로 보아 현재 관리인 아니면 신부님께서 사용하는 건물 같아 보이더군요..
△. 강화성당에는 문이 총 4개문으로 외삼문. 내삼문이 남서쪽 방향으로 대문 형식이며. 남서 방향으로 문이 하나 있으며. 북서쪽 방향으로 보이는 문이 이쪽 문입니다. 남서쪽 문으로 나가면 관리소 컨테이너도 보인다. 혹시나 하여 내부를 볼수있을까 하여 관리소에 들어가 보니 이미 퇴근들 하여 알아볼길이 없었습니다.
△. 건물 북동쪽 방향에서 바라보며 담은 사진 입니다..
△. 성당 건물 북쪽이 넒은 공간에서 이미 저녁노을은 지고 오둠의 장막이 까리는 시내와 멀리 고려산에 군용 시설물에도 불이 켜진다.
△. 너무 늦은 시간이라 혹시나 하여 들러분 용흥궁 철종임금이 머물던곳으로 지금 원래 모습 그대로 보존되어 일반인들에게 무료 개방 되고 있었습니다.. 그래서 급히 들어 왔지만 사진을 담을시간 조차없어 관리인은 문을 닫아야 한다고 하여 이렇게 안내문만 담아 왔습니다.. 다음에 다시 한번 찾아가 강화성당 내부 구조와 용흥궁을 찾아 보도록 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다음은 일요일 산행지 찾아가야 하며 다음 포스팅은 월요일에 고려 궁지로 포스팅 하겠습니다.
|
⊙『2013.01.06』남과북이 함께 하지는 못했지만 반쪽씩 건설한 승일교 (0) | 2013.01.16 |
---|---|
⊙『2013.01.01』프랑스에서 돌아온 문화재 외규장각을 볼수 있는 강화 고려궁지 에서.. (0) | 2013.01.08 |
◐【2012.11.25】④ 신라 천년고도의 아름다움을 주는 청운교 백운교 연화교 칠보교 경주 불국사 (0) | 2012.12.12 |
◐【2012.11.25】③ 신라 호국불교의 대가람 천년고도 경주 불국사 (1) | 2012.12.11 |
◐【2011.11.25】② 경주 불국사 다보탑 일제의 수난사를 격어낸 신라 천년고도 국보 제20호 (0) | 2012.12.08 |
댓글 영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