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2012.06.04】조선 제8대 예종왕의 원비 장순왕후의 능 공릉[恭陵]

◈ Travelog/⊙ 고찰 문화재

by 순도리(칠이) 2012. 6. 4. 22:24

본문



▣ 파주 삼릉[세계유산 조선왕릉]



 

 



      ◎ 여행장소 : 경기도 파주시 조리면 삼릉로 89. ◎ 여행일자 : 2012년 05월 28일 [월요일]

    ○ 장순왕후[章順王后] 사적 제205호 1445년[세종 27]∼1461년[세조 7]. 조선조 제8대 예종의 비. 청주한씨[淸州韓氏]로, 자헌대부 삼사좌복야 문열공[資憲大夫三司左僕射文烈公] 한상질[韓尙質]의 증손녀이고, 영의정부사 한기[韓起]의 손녀이며, 아버지는 세조 대의 공신 상당부원군[上黨府院君] 영의정[領議政] 한명회[韓明澮]이고, 어머니는 고려의 문하시중 민지[閔漬]의 5대손인 가정대부[嘉靖大夫] 한성부윤[漢城府尹] 민대생[閔大生]의 딸이다. 내외가가 당대의 문벌인 가문에서 태어난 한씨는 아름답고 정숙하여 1460년[세조 6] 세자빈[世子嬪]으로 책봉되어 가례를 행하였다. 세조의 총애를 받았으나, 1461년 원손 인성대군[元孫 , 仁城大君]을 낳은 뒤 병으로 인하여 녹사[錄事] 안기[安耆]의 집에서 17세의 나이로 요절하였다. 1472년[성종 3] 장순왕후에 추존되었다. 능은 공릉[恭陵]이며, 파주 남쪽 보시동[普施洞]에 있다. ※ 출처 : 한국학중앙연구원

 

 


 

. 가깝게 있으면서 약5년만에 다시 찾은 "파주삼릉" 예전엔 "공릉" 이라고 하였으나.

2009년 6월 30일 유네스코 세계유산 으로 등재됨과 함께 새롭게 정돈된 모습으로 많은곳들이 새로운 느낌을 주었습니다..

 


 

. 예전에는 현재 관리소 입구에서 공릉저수지 지금의 하니랜드 공원으로 차량도 넘나들었었지만

현재는 불가능 할뿐아니라. 않좋았던 풍경들도 말끔히 정돈되어 가적들의 나들이 코스로

까까이 있는 사람들이 산책 코스로도 가능하게 만들오 놓았더군요...   

 


 

. 말끔해진 이정표들 안내대로 따라 공릉→순릉→영릉 방향으로 산책로 되있으니 관람을 합니다..

 


 

. 공릉은 장순왕후의 능이다.

 

○ 지정번호 : 사적 제205호  

○ 조성시기 : 1461년[세조 7]

 

그녀가 세자빈으로 세상을 떠났기 때문에 세자빈묘로 간략히 조영하였다.

봉분에는 병풍석과 난간석도 없으며, 일반적으로 왕릉에 세워지는 망주석도 생략되었다.

그러나 석양과 석호가 호위하고 있는 봉분은 그 크기가 크며 혼유석과 장명등, 문석인과 석마가 놓여 있다.

석물은 조선시대 초기 형태인 웅장한 모습을 하고 있다.

 

석양은 네 발을 모으고 곡장[曲墻] 쪽을 바라보고 있는데 석호와 같이 악귀를 쫓는 기능을 한다.

이 석양은 얼굴과 뿔은 비교적 자세하게 표현되어 있으나 몸통은 단순하게 처리하였다.

한편 석호는 석양과는 달리 앉은 자세로 되어 있다.

봉분 뒤 좌우에 1쌍이 배치되어 있는데 위엄이 있고 용맹한 호랑이라기 보다는 귀여운 고양이와 같은 모습을 하고 있다.

곡장 쪽을 바라보고 있으며 악귀를 쫓는 벽사의 기능을 한다. 홍살문에서 정자각까지 이어진 참도가 ㄱ자로 꺾인 점이 특징적이다. .

 


 

. 제일 먼져 들러 보게된 세조때의 공신으로 상당부원군 한명회의 딸인

예종의 원비 장순왕후능인 "공릉"의 홍살문에 도착 합니다..

그런대 홍살문에 구멍을뚤러 놓았더군요,

이곳에는 숲이 울창하여 딱다구리의 흥적인듯합니다... 

 


 

. 왕가의 능으로써 보기드문 형태 참도가 "ㄱ" 방식으로 특이한 형태를 지니고 있으며

공릉은 조선8대 예종의 세자빈으로 사망 하여 세자빈 묘로 있다가 예종이 왕위에 오르면서

원비로써 장순왕후라는 칭호를 받으며 능 이름도 "공릉"이라고 하였다.

예종은 서오릉에 "창릉"이다. 계비인 안순왕후와 함께 합장 되어있다. 

 


 

. 정자각[丁字閣]

다른 릉의 정자각과는 다른것이 없어 보인다...

 

장순왕후 한씨 [章順王后 韓氏1445년 ~ 1461년]

조선 8대 예종의 세자비인 장순왕후 한씨는 1445년[세종 27] 1월 16일

당대 절대 권력을 행사했던 상당부원군 한명회의 딸로 태어났다.

명문가의 딸이면서 아름답고 정숙하여 1460년 4월 11일 세자빈으로 책봉되었다.

 

그러나 책봉된 지 1년 7개월만인 1461년[세조 7] 11월 30일 원손 인성대군을 낳고 산후병으로 인해

그 해 12월 5일 안기의 집에서 17세의 꽃다운 나이로 승하하였다.

그녀의 아들인 인성대군에 대한 기록은 거의 남아 있지 않은데, 태어나자마자 어머니를 여의고 유년 시절에 죽은 것으로 여겨진다.

 


 

. 능의 좌우 공간에는 울창한 숲을 이루고 있어

산책코스로도 아주 좋은곳이 였습니다.. 최근 많은 부분이 정리된것 처럼보였다.

 


 

. 정자각 내부에도 별다른것은 볼수 없었으나

이곳은 제상 차림표를 전시 하여 많은 도움이 됬습니다.

 


 

. "제수 진설도" 기산제의 사진들 도움을 받았습니다.

 


 

. 공릉 비석 비각 내부에 있습니다.

 

조선국[朝鮮國]

장순왕후공릉[章順王后恭陵]

 


 

. 비각과 정자각을 바라봅니다..

공릉 신계[신이 오르내리는 계단] 무늬가 아름답고 선명하게 남아 있습니다...

 


 

. 잠시 공릉의 침상공간을 올라가 보겠습니다..

 


 

. 능친앞에서 정자각을 내렵았습니다.. 우축으로는 수라간 같아 보이는 터가 있는듯하내요....

그러나 어디나 찾아 보아도 수라간과 수복방이 있었다는 흔적을 찾을 길이 없내요...

아마도 처음에 조성될때 세자빈 묘이기 대문이 아닌가 싶습니다.

 


 

. 공릉

 

조선 제8대 임금 예종[譽宗 1450~1469. 재위1468~1469의 원비 장순왕후 한씨[章順王后 韓氏 1445~1461]의 능이다.

장순왕후는 영의정 이자 상당부원군인 한명회[韓明澮]의 딸로 16세에 세자빈이 되었으나 인성대군[仁城大君]을

낳고 산후병으로 17세의 젊은 나이에 돌아 가셨다.

장순왕후는 돌아가신후 장순빈[章順嬪]으로 불렸으며.1462년 2월 파주레 모셔졌다.

장순왕후는 예종이 왕위에 오르기전에 돌아가셨으므로 왕후의 능이 아닌 세자빈의 묘로 조성되었다.

따라서 공릉은 병풍석. 난간석.. 망주석과 무석인이 생략되어 간소하게 배치되었다.

그러나 봉분과 석물은 조선 초기 형태의 웅장한 모습을 보여준다.

1472년 성종2년에 세자빈에서 왕후로 추존되었으며, 이후 무덤의 이름도 왕후격으로 높여

공릉[恭陵]은 공혜왕후 순릉의 표석과 함께 1817년 순조17년에 세운 것이다.

 


 

. 공릉엔 문인석. 석마 많이 능을 지키고 있더군요..

이것 또한 세자빈 묘로 처음 만들어져서 아닌가 싶습니다.. 

 


 

. 사진을 보아도 없는것들이 보입니다...

우선기본적인것인 망주석. 무인석. 지대석. 병풍석.난간석.왕릉에서 흔이 보이는것들이 없내요..

 


 

. 능앞에는 혼유석과 장명등 많이 있어 쓸쓸하게 보입니다..

 


 

. 장명등은 8각형태의 모습입니다...

예전에 포스팅을 보시면 대충 장명등을 보시면 년대를 알수있을것이다.

 


 

. 능침 주변에는 잡풀 제거 작업을 한것 같더군요.. 또한 보수도 한흔적이 보이더군요..

 


 

. 능침을 곡장 뒤에서 바라본다. 능이 생기게된 의 역사는

 

장순왕후가 1461년(세조 7) 12월 5일 세자빈의 신분으로 승하하자

세조는 이듬해 2월 17일 장순이라는 시호를 내렸으며, 2월 25일 파주 남쪽의 언덕에 안장하였다.

1470년[성종 1] 1월 22일 능호를 공릉이라 했고, 1472년 1월 11일에 장순왕후로 추존했다.

그러나 왕후로 추존된 후에도 세자빈묘로 조영한 능에 더 이상의 상설을 하지는 않았다.

 


 

. 돌아 내려와 다시 정자각을 옆면을 보니 오늘따라 여사롭지 않게 보인다.

 


 

. 조금 이상하게 보이는 부분이 있다.아마도 다시 찾아 보야 할것 같다. 

 


 

. 사찰에는 일주문이 있지만 왕릉에는 정자각이 있어 어디를 들러 보던 정자각을 우심히 보게된다.

제수실.. 신도와 어도. 주위에 있는 망로위. 산신석. 등등 주변에 자리 하고 있으면서 능을 안내 한다..

 


 

. 공릉 관람을 마치고 순릉으로 향합니다.

이곳에는 울창한 숲과 함께 한가롭기만................

 

=♥=== 끝 ===♥=

 




관련글 더보기

댓글 영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