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05.10] 주변에서 함박꽃 (작약)을...

◈ Travelog/⊙ 식물 야생화

by 순도리(칠이) 2008. 5. 9. 15:01

본문

함박꽃 (작약)

 

홍약(紅藥), 적약(赤藥), 백약(白藥),

작약화(芍藥花)라고도 함.

작약과(芍藥科 Paeoniaceae)에 속하는 다년생초

 

적작약(P. lactiflora)의 한 변종으로 재배한다.

키는 50~80㎝이고 뿌리는 방추형이다.

 

뿌리에서 나는 잎은 1~2번 날개같이 갈라지며, 윗부분은 3개로 갈라진다. 잎의 표면은 짙은 녹색이며,

흰색이나 빨간색 또는 여러 가지 혼합된 색의 꽃은 5~6월에 원줄기 끝에서 1개가 핀다.

 

꽃받침은 녹색으로 5장이다. 꽃잎은 길이가 5㎝ 정도로서 10장이다.

꽃밥은 많고 노란색이며, 밑씨 3~5개가 암술머리를 뒤로 젖히고 모여난다.

 

열매는 골돌(蓇葖)로 8월에 익는데 중심 쪽이 세로로 터진다.

 작약과 비슷하지만 잎 뒷면의 맥 위에 털이 있는 것을 호작약(var. hirta),

밑씨에 털이 밀생하는 것을 참작약(var. trichocarpa)이라 하며,

 

그밖에 백작약(P. japonica)·모란(P. suffruticosa)이 있다.

중국이 원산지로 관상용 또는 약초로 재배된다.

토양이 깊고 배수가 잘 되며 약간 그늘진 곳에서 잘 자란다.

 

번식은 씨 또는 포기나누기로 한다. 작약은 뿌리를 진통제·해열제·이뇨제로 쓴다.

주요성분으로 페오노시드(paeonoside)·

페오니플로린(paeoniflorin)·

β-시토스테롤(β-sitosterol)·

페오닌(paeonine)·

갈로타닌(gallotanin)·

벤조산(ben- zoic acid)·

아스트라갈린(astragalin) 등이 있다.

<옮겨온 글>

 

이내용을 보니 저는 목단 인줄 알고 있었는대

작약 이라고 해 다시 보니 작약이 맞는것 같아 정리 하였습니다.

그러나 꽃 모양에서 조금 다른것을 볼수 있더군요.

그러구 나무 잎이 다르고요 ( 꽃으로 구별하라고 하면 전문가가
아닌 다음에야 그 구별이 쉽지 않을 것이라내요)

저는 전문가가 아니라서....

..

아무튼 저는 아름다운 꽃이고 흰색으로는 흔하지 않은것이라서

사진으로 담아 보았구요 보기 좋아서

이렇게 정리 하였습니다.

좋은 감상을...???

[08.05.10]

 

Alex Fox / Guitar on fire

 

사진을 정리 하면서....

'◈ Travelog > ⊙ 식물 야생화 ' 카테고리의 다른 글

[06.05] 뽕 나무 (오디)  (0) 2008.06.05
[06.05] 보리수(Der Lindenbaum / Nana Mouskouri)  (0) 2008.06.05
[04.30] 금낭화  (0) 2008.05.01
[04.16] 나비..  (0) 2008.04.16
[04.16] 엄나무...  (0) 2008.04.16

관련글 더보기

댓글 영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