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사적223호 숭의전지[崇義殿址]

○ 숭의전 [ 崇義殿 ]
조선시대 고려 태조와 7왕을 제사지내던 사당.
경기도 연천군 미산면에 있다. 1397년(태조 6)에 태조의 명으로 묘(廟)를 세우고,
1399년(정종 1)에는 고려 태조와 혜종ㆍ정종ㆍ광종ㆍ경종ㆍ선종ㆍ목종ㆍ현종의
7왕을 제사지내고, 1423년(세종 5)과 1452년(문종 2)에 중건하였다.
문종은 이곳을 ‘숭의전’이라 이름짓고, 이와 함께 고려조의 충신 정몽주(鄭夢周) 외
열다섯 사람을 제사지내도록 하였으며, 고려 왕족의 후손들로 하여금
이곳을 관리하게 하였다.
중종은 1512년(중종 7) 여름에 작은 소를 잡아 제사지내게 했고, 선조 때는 고려조
왕씨(王氏) 후예로 참봉을 제수하여 전각(殿閣)의 수호와 제사를 지내게 하였다.
영조는 1731년(영조 7) 승지를 이곳에 보내 제사지냈으며, 1789년(정조 13)에는
이 건물을 고쳐 지었다. 처음에는 사(使, 종3품), 수(守, 종4품), 영(令, 종5품),
감(監, 종6품), 여릉참봉(麗陵參奉, 종9품)의 관리를 1인씩 두었으나
뒤에 와서 사와 수는 없앴다.
일제강점기에도 조선총독부가 이를 계승하였으나 6ㆍ25로 전각이 소실되었다.
그 뒤 1973년 왕씨후손이 정전을 복구하였고, 국비 및 지방보조로 1975년 2월에는
배신청 13평을, 1976년 1월에는 이안청 8.7평,
이듬해 2월에는 삼문(三門)을 신축하였다.
참고문헌
『태조실록(太祖實錄)』
『대전회통(大典會通)』
『궁궐지(宮闕志)』
출처 : 한국민족문화대백과, 2010, 한국학중앙연구원
|

△. 앙암재[仰巖齋]에서 작은 문으로 들어오니 전사청[典祀廳] 있는곳으로 들와 왔습니다..
|

△. 전사청[典祀廳]은 제례 때 사용할 제수를 준비하고 제기를 보관하는 곳이다
|

△. 또 전사청[典祀廳]에서 작은문으로 숭의전[崇義殿]과
아래로 앙암재[仰巖齋]로도 통하는 문과 밖으로 나갈수 있는 문이 있었다.
안내도에서 보면 사진상 보이는 문이 서문[西門] 숭의전 중심으로 서쪽에 있는문이다
|

△. 숭의전[崇義殿] 앞에 있으면서 남쪽방향으로 있는문 남문[南門]으로 천수문[天授門]이라고 한다.
|

△. 숭의전[崇義殿] : 고려 4왕의 위패가 보신 정전[正殿]
사당 건립이후 1399년에는 왕명에 의해 고려 태조를 비롯하여
혜종,성종,현종,문종,원종,충렬왕,공민왕,등 고려 8대왕의 위패를 봉안 하였였다.
이후 1425년에 이르러 조선의 종묘에는 5왕을 제사하는대 고려조이 8왕을 제사하는것이 합당치 않다하여
태조 왕건, 현종, 문종, 원종 등 4왕만 봉향토록 하였다. 그래서 4왕만이 모셔지게 되었다.
|

△. 고려 태조 왕건[王建]의 위패와 영정 입니다.
왕건 [王建]
고려[高麗]의 첫 왕인‘태조[太祖]’의 이름. 송악[松嶽] 출생으로 태봉[泰封]의 궁예[弓裔]를 섬기다가,
궁예가 폭정으로 인심을 잃자 918년 그를 내쫓고 왕위에 올라 고려를 창업하였다.
이후 935년 신라에게 항복을 받고 936년 후백제를 멸망시켜 후삼국을 통일하였다.
|

△. 현종[顯宗] 991년[성종 10]∼1031년[현종 22]. 고려 제8대 왕.
재위 1010∼1031년. 본관은 개성[開城]. 자는 안세[安世].
태조[太祖]의 여덟째 아들인 안종욱[安宗郁]의 아들이다.
모친은 경종의 비 효숙왕후 황보씨[孝肅王后皇甫氏]이다.
|

△. 【좌】문종[文宗] 1019년[현종 10]∼1083년[문종 37]. 고려 제11대왕.
재위 1046∼1083년. 본관은 개성[開城]. 이름은 왕휘[王徽], 자는 촉유[燭幽].
현종의 셋째아들이며, 모친은 원혜태후[元惠太后] 김씨[金氏]이다.
【우】원종[元宗] 1219년[고종 6]∼1274년[원종 15]. 고려 제24대 왕.
재위 1260∼1274년. 이름은 식[식], 초명은 전[倎], 자는 일신[日新]. 본관은 개성[開城].
고종의 맏아들로 모친은 안혜태후[安惠太后] 유씨[柳氏]이다.
|

△. 배신청[陪臣廳]
고려때 16공신의 위패를 모신 곳 [아래 시진 참고 하시길....]
|

△. 고려시대 국가에 큰공헌을한 16인 공신들의 위패가 묘셔진 배신청[陪臣廳] 내부를 들여다 봅니다.
①복지겸[卜智謙] ②홍유[洪儒] ③신숭겸[申崇謙] ④유금필[庾黔弼] ⑤배현경[裵玄慶]
|

△. ⑥서희[徐熙] ⑦강감찬[姜邯贊] ⑧유관[柳寬] ⑨김부식[金富軾] ⑩김취려[金就礪 ⑪조충[趙冲] ⑫김방경[金方慶]
|

△. ⑬안우[安祐] ⑭이방실[李芳實] ⑮김득배[金得培] (⑮+①)정몽주[鄭夢周] 등
공신들의 위패가 모셔져 있었다.
|

△. 이안청[移安廳]
숭의전과 배신청 청소 및 공사 시에 위패를 잠시 모셔두는 곳
[위패를 옮길길때는 이안제[移安祭]와 환안제[還安祭]을 올려 고유례[告由祭]를 행함]
|

△. 관람시간 마무리 되어 문을 잠그는 바람에 모두 들러는 보았으나
자세히는 보지 못하고 퇴궐하게 이르렀습니다.
|

△. 밖으로 나와 징검다리 연결된 곳이 보여 따라가 본다.
계속 돌아가니 잠두봉으로 올라는 평화누리길 이였다.
|

△. 사진상 바로 앞에 보이는 문은 제를 올릴때 제관들이
이곳을 통하여 전시청으로 들어가는 문이라 한다.
|

△. 숭의전[崇義殿]의 정문인 천수문[天授門] 숭의전과 배신청으로 들어가는 문이다.
|

△. 숭의전 남문으로 바라보면 급히 떨어진 낭떠어지에 있는 임진강변에
느띠나무 약590년되어 경기도 보호수로 지정되있다.
|

△. 누애의 머리 닮았다고 하여 잠두봉[蠶頭峰] 썩은소의 유래가 있는곳 으로
암각문도 있는 곳이기도 하다.
또한 이곳으로 올라가 이어지는 길이 평화누리길로 계속해서 나가면
왕순레 묘소가 나오게 되면서 큰길과 다시 만나게된다.
|

△. 잠두봉 오르는길로 따라가면서 길 확인하고
다시 돌아서 천수문[天授門] 앞으로 나갈려 합니다. 관리인이 있어서 인가 깨끗해 보인다.
|

△. 숭의전 정문인 천수문[天授門]이라 현판 되있으며
왕건의 호가 천수라 하여 붙여진것 같다고 한다.
|

△. 돌아 나와 아쉬워 전경을 다시 담아보고는 돌아서 나갑니다..
|

△. 숭의전 돌담 울타리 옆에 있는 느티나무
500여년 되었다고 하며 고려태조 왕건이 당시 앙암사 사찰에
기도하기위해 들러 심었다는 이야기도 있더군요.
|

△. 숭의전 앞마당으로 잠두봉 가는길이 평화누리길로 되있어
이런 푯말이 붙어있더군요..
|

△. 옛날 화장실이였던 계단으로 내려서면 양수장도 보입니다.
|

△. 양수장과 임진강이 또렸하게 보이면서 한강으로 흘러 내려가는 모습 잘보이는 곳이다.
|

△. 강건너로 보이는 삼화리마을쪽 강물과 함께 그림자
늦은 시간이라 너무 멋지게 보인다.
|

△. 숭의전의 09:00~17:00까지 입장 하여 18:00까지는 퇴장 하여야 하기에
오늘좀 늦은 시간이라 이렇게 밖에 담을수 없었으며 돌아 나와 홍살문 앞에 섰습니다...
|

△. 숭의전 입구 주차장 한켠에서는 마을 주민들이 자연이 만들어진 상가
주로 농수산물로 장사진을 이루고 있었다.
|

△. 초대[初代] 숭의전[崇義殿] 부사[副使] 왕순례[王順禮]의 묘[墓]
고려 왕족. 미산면 마전리 염창굴고개 산마루에 묘가 있다.
본관은 개성이며, 본명은 왕우지[王牛知]이다.
고려 현종의 원손[遠孫]으로 왕휴[王休]의 후취인 오씨의 소생 왕미[王美]의 아들이다.
고려가 망한 뒤 조선 왕조의 핍박을 피해 공주 왕촌[지금의 충남 공주시 상왕동 중동골로 추정]에 숨어 살았다.
그후 조선 왕조의 유화정책으로 1397년[태조 6] 고려 태조를 비롯한 7대 왕을 제사지내는 묘[廟]가 중건되고
1451년[문종 원년] 숭의전이라 명명하였다.
당시 고려조의 충신인 정몽주 외에 고려 왕실의 후손들을 찾는 와중에 공주에 머물고 있었다.
왕우지는 왕순례로 개명되었으며, 이듬해인 1452년[단종 원년] 7월에 숭의전[崇義殿] 부사[副使]가 되었다.
후손들은 대대로 숭의전의 전감[殿監] 또는 참봉을 역임하였다.
참고문헌
『海東野言』;『國朝寶鑑』;『高麗崇義殿史』.
앞전 게시글에 보면 사진설명에 추가된다.
|

△. 주차장에서는 흔하지 않은 노랑 물봉선화가 만개하여 오늘 숭의전 관람을 즐겁게 도움을 주고 있었으며
숭의전은 1605년[선조38]. 1772년[영조3]. 1789년[정조13]. 1868년[고종5]. 1908년[순종2]등
총 5차례에 걸처 개수와 증수를 거치면서 한국 전쟁당시 에는 전소되고. 1971년에는
역사적 가치를 고려해 그 터를 사적으로 지정하며 1972년에 현재의 모습으로 복원하게 되었다.
숭의전은 정면 3칸, 측면 3칸,으로 비롯하여
숭의전, 배신청, 이안청, 전사청, 앙암재,등 5동의 건물로 되어있다.
|

|
댓글 영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