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2011.10.01】47. 대간길 능선따라 설악산 황철봉[黃鐵峰] 산행

◐ Climbing[2011]/├ ① 강원도 권역

by 순도리(칠이) 2011. 10. 4. 01:31

본문



    윗부분에 있는 손을 클릭 하여 추천해 주신다면 저 또한 자신감과 함께 좋은정보를 찾아 많이 얻을수 있는 힘이 됨니다... 방문 하시여 주시는 모든 분들에게 이렇게 부탁 합니다 저는 항상 함께할수 있는 자료가 될수 있도록 많이 준비 하도록 할것을 약속 드리면서 머무는 동안 즐겁고 행복한 시간이 되시길 바랍니다..... 감사 합니다.


▣ 속초시 황철봉 1.381M



 

 

 

 



      ◎ 산행장소 : 강원도 양양군 속초시 설악동 일대에 있는산. ◎ 산행일자 : 2011년 10월 01일 [일요일] ◎ 함께한이 : 본인외 2명 ◎ 움직임로 : 음판지골 → 1000봉 → 능선 → 황철봉 → 1.318봉 → 미시령 갈림길 → 840봉 → 울산바위 → 흔들바위 → 신흥사 → 소공원 [총 16.3KM 약 9시간25분 소요]

    ○ 설악산 황철봉[黃鐵峰,1,381M] 산행 후기... 요즘 경춘 고속도로 개통으로 2시간10분이면 속초까지 도착 하는 버스가 있어 지난주에 이어 또 설악산을 찾을수 있어 도 다시 찾아 나섰습니다... 아침6시25분 첫차를 이용하여 8시40분경에 도착 하여 간단한 아침 식사로 산행인 설악산으로 택시 이용하여 이동 할려니 기사님께서 설악동은 들어 갈수 없다고 하시더군요.많이 밀려 들어 갈려면 2시간 걸린다 하여 걱정반으로 출발 하였으나 아니나 달리 많이 막히더근요... 그래서 갑자기 선회 하여 미시령 음판지골을 생각하여 이동 합니다 [택시비 25.000원] 음판지골도 "통금" 그러나 조금옆으로 선회 골짜기 찾아 시작 합니다..... 이곳은 골짜기를 2시간여 올라야 황철봉 능선을 만날수 있으며 등로가 없어 여러가지를 이용하여야 하며 양쪽 능선을 바라보며 잘 찾아야 합니다 아마도 누구나 쉽게 찾게 되는곳이 1000M 봉우리 일것입죠 바로 논에 속들어 오거든요 좌측은 가파르게 보이기 때문이지요.. 이 봉우리 올라와도 길이 없어 봉우리 능선길을 찾아야 합니다. 이곳을 지나 황철봉 가까이 갈수록 등로가 조금씨 보이기시작 합니다. 아마도 이곳까지 오시면 3시간 정도 소요 될것으로 보여집니다. 그러면 앞에 보이는 너덜지대 이잰 쉽게 갈수 있습니다. 정상 부근에는 바위 너덜지대라 조심스럽게 이동 하여야 하지만 마가목 군락지라 요즘 열매 맺에 빨강쌕이 유난히 눈에 들어 오더군요 물론 내설악쪽을 조망 할수 있어 더욱더 멎진곳 이구요처음 보이는 너덜지대가 정상은 아니지만 정상으로 보여지는 곳입니다..... 그곳을 넘어 조금더 가시면 정상에 올라서게 됩니다. 정상에는 정상석은 없고 그냥 화살표로된 표지석 하나 달랑 있었는대 그나마 쓸어져 있구요 야간 산행 하는 대가눈들을 위해 야경봉으로 안내해 놓은 표지들만 눈에 들어오더군요. 그외는 대간 꼬리표들이 있어 그곳을 따라 가시면 됩니다.. 쉽게 접할수있는곳이 아니기에 조망을 많이 하며 구석구석들을 바라보면서 산행 하니 시간이 많이 소요 되더군요.. 정상 지나 삼각지봉 까지는 무난하며 삼각지봉에서는 길을 잘 찾아야 함을 아래 설명에서도 언급 하였으며 야간 산행 하는 사람들을 위하여 설치해놓은 야경봉을 따라 가는 너덜지대 조심하셔야 하며 이런길들이 많이 있음을 감안하셔야 합니다 또한 삼거리 부근에서 우측 가시면 울산바위 방향 이곳으로 가시다 보면 2곳에서 전망 할수 있는곳있습니다. 그곳을 지나면840봉우리 넘어서면 거대한 울산바위가 앞에 나타납니다. 그곳에는 넒은 공터도 있으며 바위를 즐기는 암벽 등반객들 비박 장소로 보이더군요 이곳에서 흔들바위 까지는 1시간여 이곳에서 어둠이깔려 후래쉬 이용하여 하산 하였습니다....

 

감사 하고 고맙고 수고 하셨습니다.

== 집에서 산행 정리하며 ==


 

음판지골에는 길도 읍다... 무작정 찾아 가야한다.. 

 

요즘 가뭄에 시달리고 있는대도 수량이 그래도 볼만할 정도로 작은 폭포들이 많이 있다.. 

 

단풍도 물들어 가지만 아직은 물감이 약하다... 여기도 길이 읍다... 

 

아마도 이곳이 1000고지 일것같다..이곳에서 자리 하여 점심 식사를 하며 잠시 휴식을...... [13:06] 

 

여기는 자연 휴식년제 실시로 자연 그대로 인것들이 많이 볼수 있는곳이기도 하다.

그래서 인듯 자연을 즐길수 있으며 많은 공부도 할수 있었다..

 

여기넘어가면 또 너덜지대가 나오면 정상으로 조금 올라가면 황철봉이다.

처음 만나는 황철봉 부근에 너덜지대 조심 조심 오르는 묘미가 한층더하며.. 조망도 시원하게 보이는 곳이다 

 

저항령 쪽으로 바라 보는대 이곳은 물감이 짙해보인다.. 정상부근에는 많이 물들었더군요. 뒤로는 "저항령"

 

이곳을 돌아 넘으면 정상입니다.  

 

정상을 향에 조금만더... 너덜지대를 넘는 동료

지난 주일에 공룡능선 함께 하였던 동료 오늘도 동행 하였음...

 

정상이다...[황철봉 1.381M] 저곳을 찾아 오길 몇년이 걸린것 같다... 오랜만이다 황철봉아...!

 

. 정상 부근에는 "마가목" 열매가 잘익어가고 있더군요 사방이 울굿불굿 장식을해 놓은듯하다. 

 

. 난 정상에서 뒤따라 올라오는 동료를 뒤로는 물들어 가는 단풍 물결이 아름답게 보인다.... [14:53] 

 

. 조금만더 .. 정상이다 그져 조망이 아주 좋아 저기 오르길 시간이 많이 걸린다... 

 

. 마등령에서 이어지는 저항령길 멀리 뒤로는 서북능선 지난주일에 지나온길이다... 

 

. 이잰 정상에서 내려다본 저향령에서 올라오는 길이다 .... [14:59]

지금부터는 대간길로 진행 할것이다 노랑색 표지가 대간길.. 올라와 미시령 방향으로 넘어갈것이다. 

 

. 오늘 산행 종착지인 설악동 소공원 희미하게 보인다..

좌측으로는 달마봉 우측으로는 권금성 이 눈에 들어 옵니다.저기 까지 언재 갈꼬...!!

 

. 내려다 보니 즐겁기만 하내요 내려 가야 하는대 갈려는 생각들을 않합니다...

다음 주말쯤 이면 단풍도 절정일것입니다. 

 

. 등로 옆길에는 간간히 보여주는 단풍 싱그러움 까지 느끼게 하는군요. 

 

. 마가목 열매가 청명한 하늘을 수놓아 아름답기만.....

 

. 지나온 황철봉 뒤에서 바라보니 다른 느낌... 

 

. 삼각지점봉[1.318M] 이곳에서 조금 길을 잊을수 있습니다.

황철봉에서 올라 오다보면 나이론줄로 안내해 놓은것을 지나치면 다른곳으로 갈수 있으며

넘어가는길에 출입금지 표지가 있으며 올라오다 약간 좌측으로 줄 따라 가시면 지금부터는 너덜지대 내려가

미시령으로 향하는 길이 나옵니다. 이점을 숙지 하셔야 길을 잊지 않을듯합니다... [15:51] 

 

 

. 삼각지봉에서 내려서면서 멀리 가야할 울산바위 를 바라봅니다. 

 

. 삼각지봉 에서 내려서면서 이런 너덜지대 약간 우축에 보이는 봉우리가 미시령 삼거리

저곳에서 울산바위로 방향을 틀어 하산 할려 합니다.

약간 좌측으로 내려 가시면 미시령 옛휴계소 멀리는 대간길인 신선봉 입니다.

 

. 이곳에서도 울산 바위가 해 넘어가며 빛추어준 모습입니다. 

 

. 너덜지대 하산 하는 내려오는 모습 조심조심 하셔야 합니다... [16:20] 

 

. 내려와서 청명한 하늘을 한번더 담아 보았습죠.... 

 

. 점점 가까워 지는 울산 바위....  이잰 달마봉도 해넘어 간듯하군요...

언재 저곳까지 갈수 있나...??

 

. 미시령 삼거리 지나 울산 바위로 향하며 신선봉을 해넘이를 맞이 하는모습을.... [17:39]

 

. 멀리는 대청도 중청도 오늘을 마감 하는듯한 모습 해 넘어 갑니다. 

 

. 지난길을 뒤돌아 봅니다.

좌측 봉우리는 삼각지점봉 우측은 미시령 삼거리 입니다.

 

. 아마 이곳이 울산 바위앞 마지막 봉우리 [840M] 봉우리입니다.... [18:02]

이곳지나면서 울산바위 맞이 하고 그후로응 어둠이 몰려와 사진은 담지 못하였습니다.

서둘러 하산하며 흔들바위 중간 부근 까지 내러 오니 후래쉬를 이용하여 소공원 까지 내려왔습니다... [19:24] 

소공원 도착 하니 어둠이 깔려 이미 다들 빠져 나가 한적 하여 택시를 이용하여 터미널까지 이동 하였습니다.

 




관련글 더보기

댓글 영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