딱추, 잠다귀라고도 함.
초롱꽃과(─科 Campanulaceae)에 속하는 다년생초.
키는 50~130㎝이며 뿌리는 곧고, 줄기에 털이 있다.
잎은 타원형으로 돌려나며 길이가 4~8㎝이고 양면에 흰색 털이 있다.
잎 끝은 뾰족하고 가장자리에는 불규칙한 톱니가 있다.
꽃은 7~9월에 엉성한 원추(圓錐)꽃차례로 작은 꽃들이 어긋난다.
하늘색의 꽃은 종(鍾) 모양으로 아래쪽을 향해 달리는데,
길이는 1.5~2.0㎝이고 수술은 5개이다. 암술머리는 길어 꽃 밖으로 나온다.
열매는 11월경에 삭과(蒴果)로 익어 측면의 능선 사이가 술잔 모양으로 터진다.
연한 부분과 뿌리는 식용하며 뿌리는 경기·해독·거담에 사용한다.
한국의 모든 산야에서 널리 자라고 농가에서 키우기도 한다.
번식은 씨·포기나누기로 한다.
이와 비슷한 층층잔대(A.swfdiatifolia)·왕잔대(A. tyosenensis)·
두메잔대(A. lamarckii)를 비롯한 10종(種) 이상의 식물들이 자란다.
-출처 : 브리태니커 사전-
◈ 한방 약효능
양음청폐(養陰淸肺), 익위생진(益胃生津), 폐로 들어가
폐음을 보양하고 폐열을 없애주는 효능이 있다.
뿌리의 추출물은 강장, 지혈작용, 해독작용이 있고 폐경에 주로 작용하므로
폐를 맑게 하고 가래를 삭히고 갈증을 멈춘다. 종기 치료에도 효과가 있다.
중기(中氣)를 크게 보하고 도우며 진액을 생성하여 위장을 조화롭게 하는
효능이 있어 비장과 위장의 허약부족을 다스리고 식욕부진에도 효과가 있다.
또 대변에 설사 기운이 있고 사지가 무력한 증상을 개선시키기도 한다.
가슴이 두근거리고 숨이 차며 얼굴에 부종이 있는 증상에도 효과가 있다.
특히 과로손상과 식은땀이 나고 갈증이 심한 증상에 응용하면 치료효과가 뛰어나다.
◈ 약제에 대하여
잔대는 그 맛이 달고 평(平)하다. 주로 비경(脾經)과 폐경(肺經)에서 작용한다.
잔대는 성질이 차고 폐경에 주로 작용하므로 가래를 삭히고 갈증을 멈춘다.
잔대에는 여러 가지 기능을 지닌 다당 효소의 대사,
그리고 물과 전해질의 균형을 이루게 하여
인체의 내부 환경이 안정성을 유지하는 데에 적극적인 작용을 하게 된다.
아연은 성장발육을 촉진하면서 성기능을 높이게 된다.
칼륨과 나트륨, 칼슘, 마그네슘 등의 전해질은 신경과 근육의 기능을 조절하고
효소의 대사,그리고 물과 전해질의 균형을 이루게 하여
인체의 내부 환경이 안정성을 유지하는 데에 적극적인 작용을 하게 된다.
뿌리에 있는 Saponin은 거담진해의 작용이 있다. 주로 태음인에게 맞는 보약이다.
잔대의 다른 이름은
제니, 딱주, 사삼, 지모, 남사삼, 백사삼, 고심, 식미, 호수,
백삼, 지취, 문호, 문희, 양자내, 포삼, 면간장, 길삼, 포사삼,
온아삼, 보아삼, 토인삼, 윤엽사삼, 행엽사삼, 사엽사삼, 영아초 등으로 부른다.
◈ 약성 및 활용법
가장 오래사는 식물 중 하나로 예로부터 인삼, 현삼, 단삼, 고삼과 함께
다섯가지 삼의 하나로 꼽아 왔으며 민간 보약으로 널리 쓰였다.
잔대는 약물중독, 식중독, 독사중독, 벌레독, 농양독, 중금속독,
종기, 화학약품독 등 온갖 독을 푸는데 묘한 힘이 있어
옛 기록에도 백가지 독을 푸는 약초는 오직 잔대뿐이라 하였다.
민간에서는 종기나 벌레 물린데, 베인 상처 등에 이용한다.
또한 기침가래약, 강장약으로 기침, 기관지천식, 폐염, 이뇨,
경기(驚氣)와 한열(寒熱)에 사용된다. 잔대는 칼슘과 비타민 A 와 C가
풍부한 우수한 식품으로 민간에서는 이른 봄 싹과 뿌리를 나물로 이용하는데
무침, 장아찌, 구이, 튀김, 부침 등으로 조리하여 먹으며
더덕처럼 양념을 해서 구워 반찬으로 먹어도 맛이 있다.
맛이 달고 부드러워 이른 봄 싹과 뿌리를 나물로 이용하기도 한다.
잔대를 오래 복용하면 폐와 기관지, 위, 장이 튼튼해지고 변비가 없어지며
힘이 솟구치고 근육과 힘줄이 튼튼해진다.
그리고 살결이 옥처럼 고와지고 살이 찌며 몸이 가벼워지고 힘이 난다.
그러나 잔대는 한 두 뿌리를 먹어서 효과를 보는 것이 아니라
밥 먹듯이 늘 먹어야 한다.
어떤 사람이 1년 동안 잔대를 열심히 캐 먹고는 천하장사의 힘을 지니게 되어
건축 공사장에서 쓰는 철근을 새끼 꼬듯 꼬았다는 실화가 있다.
-출처 : 동의학 사전-
※ 이것들은 자료 이며 처방은 전문의에게 처방 하시여 사용하시길...
|
댓글 영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