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월악산[月岳山] 영봉[靈峰]1.097M
충청북도 제천시 한수면·덕산면 경계에 있는 산.
▲ 월악산 하봉.중봉.영봉 전경
높이 1,097m. 소백산맥 중심부에 솟아 있으며,
주위에는 만수봉(萬壽峰:983m)·하설산(夏雪山:1,028m)·어래산(御來山:815m)·
다랑산(多郞山:591m)·신선봉(神仙峰:967m) 등이 솟아 있다.
주맥은 남쪽 능선으로 경상북도와 잇닿아 있으며, 북서쪽 능선은 충주호와 접해 있다.
기반암은 화강암이며, 남쪽과 북서쪽에는 퇴적암층이 약간 남아 있다.
▲ 영봉 정상석
주봉 일대는 거대한 암벽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산 정상에서는 남쪽으로 주흘산(主屹山:1,106m), 북쪽으로 충주호가 보인다.
전사면이 급경사이고, 동·서 양쪽 사면에서는 광천과 달천이 마치 월악산을 감싸듯이 흘러 북쪽 한수면 탄지리에서 합류해 충주호로 유입된다.
산 일대의 수려한 계곡미, 온천, 충주댐, 많은 유물·유적 등 뛰어난 관광자원이 많아 동남쪽 문수봉(文繡峰:1,162m)을 포함한
충주시, 단양군, 경상북도 문경시 일대의 총면적 284.5㎢가 1984년 12월 국립공원으로 지정되었다.
공원 내에는 월악산을 중심으로 3개의 큰 계곡이 있는데,
그 가운데 하나는 서쪽 한수면 송계리와 남쪽 충주시 상모면 미륵리의 포암산(布巖山:962m)을 연결하는 약 7㎞의 송계계곡 이다.
계곡은 남서쪽 기슭 학소대 옆 덕주계곡(德周溪谷)으로 덕주산성 동문(東門)에서
덕주사까지 약 0.7㎞로 기암괴봉과 절벽, 노송이 우거진 숲, 맑은 물이 이루는 계곡이다.
▲ 덕주사 전경
▲ 덕주산성 동문
예로부터 이웃의 조령관문과 더불어 요지(要地)였으며, 동문과
그 오른쪽으로는 성벽이 산 위로 이어져 있고, 남문은 산비탈을 타고 내린 석성과 연결되어 있다.
계곡 주위에는 고려 현종 때 세워진 사자빈신사지석탑(獅子頻迅寺址石塔:보물 제94호)과
마의태자 누이인 덕주공주의 이름을 딴 덕주사(德周寺)가 있다.
덕주사에는 덕주공주가 망국의 한을 품은 자신의 형상을 조각했다는 마애불(磨崖佛:보물 제406호)이 남아 있다.
그밖에도 남동쪽 산록에는 신륵사(神勒寺)가 있고, 송계계곡에서 남서쪽으로 약 12㎞ 지점인 충주시 상모면 미륵리에는
단순유황라듐온천수로 알려진 수안보온천이 있다.
⊙ 등산로
◐ 제1코스인 송계리 - 계곡갈림길-주능선 안내판-정상-안내판-960m봉-덕주사 입구,
◐ 제2코스인 월악리 - 신륵사-삼거리 샘터-정상-안내판-송계리로 이어지는 등산로가 있다.
⊙ 이번 산행 움직임로
동창교(자광사) → 송계삼거리 [2.8KM] → 신록사삼거리 [0.7KM] → 보덕암삼거리 [0.5KM] → 영봉 [0.3KM] → 송계삼거리 [1.5KM] →
960봉 → 마애불 [1.9 KM] → 덕주사 [2.3 KM] → 덕주산성 동문 → 학소대 → 덕주골 [0.3KM]
[총 10.3KM 09시 35분~16시 20분 《약 6시간 45분 산행》]
단양8경의 일부를 비롯해 수려한 계곡과 어우러진 산세, 문화재, 온천 등이 절승이며,
북쪽 한수나루에서 신단양에 이르는 충주호 수상관광로는 새로운 유람관광로로 부각되고 있다.
대청 댐 - 수안보-충주를 잇는 내륙순환 관광권을 형성하고 있으며, 중원문화권과도 연결되어 개발이 기대된다.
단양과 연결되는 국도가 신설되어 교통이 편리하다.
이런곳에 있는 월악산 영봉을 산행을 결정하여 오르게 됬습니다
▲ 천영기념물 제217호 지정된 산양 안내표지.. [09 :37]
▲ 첫번째 휴식쳐이자 주유소인 전망대 시원함 까지.... [10 :38]
▲ 이름 모른 버섯들 많이 나와 있더군요
▲ 송계삼거리 까지 오르는 길이 이렇게 꼬불 꼬불 동창교에서 계속 이런길을.. [11 : 02]
▲ 송계삼거리 지나 무슨? 꽃인지는 모르지만
▲ 도덕암 삼거리 까지 또 이런길을... [11 : 52]
▲ 영봉에 도착 하여 습니다 하단에는 송계곡 동창교 부근입죠 [12 :16]
▲ 기념사진을 찍고 이곳에서 점심 시간.. [13 :11]
▲ 이분들은 식사후에 절벽 위에서 잠시 눈을 감아본다 정신은 놓으면 않되는대 ....?
▲ 거대한 봉우리 암봉 영봉을..
▲" 생"을위해 노력 하는 생물들..
▲ 무슨...??
▲ 이름 찾아 봐야겠다...??
▲ 영봉을 직벽을 오를수 없어 이렇게 빙글 빙글 돌아 올라 갑니다.. 약300M 거리를 30여분 소요 됩니다. [13 :28]
▲ "산수국" 여러가지 색을 지니고 있는 꽃
▲ 고목에 "이끼"와 "기생초" 이름 은 ...????
▲ 아직도 "영봉"밑 부누에 도착 하지 못하고 계속 하산... [13 :41]
▲ 이곳이 영봉 하단 부분이며 "송계삼거리"라는곳 입니다..
이곳을 지나 영봉을 오르고 다시 하산 하여 이곳으로 돌아온것 입니다. [14 :00]
▲ "덕주골" 이어지는 능선이며 이곳으로 하산을 할것이다. "960봉"에서 내려본다.
▲ "960봉" 에서 잠시 휴식 하며 뒤로는 "하봉"과 "중봉" "영봉" 배경으로 한장더...
▲ 이곳 부터는 지겨운곳 왼쪽 중간 약간위에 흰색으로 점처럼 보이는곳이 "마애불상" 있는곳
그곳까지 계속 이어지는 계단 하산길로 한참만 하산 하면 무룹이 멀청 할수 없을 것이다.
이곳을 찾는 사람들은 이곳을 이 더운 날씨에 선택 하여 오르면 아마도 "영봉" 까지는 올라가지 못했을것이다
그래서 나는 이곳을 하산로로 선택을 하였지요.. 그럼에도 힘이 많이 들더군요... [14 :48]
▲ 이렇게 계단을 놓아져 있더군요.
▲ 이어지는 절경도 좋고...!!
▲ 소나무도 있고.....
▲ 여기를 내려 서면 "마애불상" 있는곳 이지요.마지막 계단...
▲ 이곳이 "마의태자 누이인 덕주공주가 망국의 한을 품은 자신의 형상을 조각했다는 마애불(磨崖佛:보물 제406호)" [15 :18]
▲ 이곳부터 국립공원을 관리 하는것 같은 표지석 덕주사 옆에 등산로 입구에 설치 되있더군요. [15 :48]
▲ 덕주사 오르는길 "덕주산성 동문"바로 뒤계곡에 이런 돌탑도 쌓아 소원을 기원하였겠지요.
▲ "덕주 산성 동문" 부분.. [충청북도 기념물 제35호]
예로부터 이웃의 조령관문과 더불어 요지(要地)였으며, 동문과
그 오른쪽으로는 성벽이 산 위로 이어져 있고, 남문은 산비탈을 타고 내린 석성과 연결되어 있다. [16 ;08]
▲ 이곳은 "학소대" 옆길인대 지난 비에 손실이 된듯하여 사진은 없고
이곳을 송계 8경중에 한곳 이기도 하며 계곡이 아름답다고 합니다.
"학소대"라는 표지만 보아 아쉬웠습니다.
▲ 이곳은 덕주골 매표소라는곳 바로 옆에 있더군요
이렇게 오늘도 산행을 마무리 하였구요 너무 날씨가 후덥지근 하여 쉽지 않은 산행 이였고
지나고 보니 추억에는 길이 남을것 같아 습니다.
이곳에서 조금 내려 서니 "덕주 휴계소" 휴가철이라 그런지 만은 인파와 주차장에는 공간이 없어 고생들 하였구요
이곳은 "동서울 터미널에서 하루 10회 정도 운행 한다고 합니다. 다음에 또 이곳을 찾을 때는
이런 교통 수단을 이용하여도 좋을것 같았습니다.
그럼에 다음 산행은 수산리 에서 이어지는 보덕암 능선으로 하여 하봉 중봉 영봉 코스를 산행 할때 다시 찾겠습니다. [16 :17]
감사 합니다. 또 다른곳을 찾아 가겠습니다.
월악산 (영봉) [2] (0) | 2009.08.14 |
---|---|
월악산 (영봉) [1] (0) | 2009.08.14 |
[07.12] 덕숭산 수덕사 (2) (0) | 2009.07.25 |
[07.12] 덕숭산 수덕사 (1) (0) | 2009.07.25 |
[07.12] 덕숭산 (장마철 비바람에) (0) | 2009.07.25 |
댓글 영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