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곡산(佛谷山)양주시 유양동
불국산으로도 불리는 불곡산은 해발 470m로 그리 높지 않지만 '대동여지도'에 양주의 진산 으로 나와 있다.
양주시 유양동 및 산북동의 경계에 솟아있으며 서울 근교의 다른 산과 달 리 주말에도 붐비지 않아서 좋다.
산의 규모는 작으나 기암들로 이어진 오밀조밀한 산세를 자랑한다.
인근의 도봉산에 밀려 빛을 못보고 있으나 교통이 편리한데다, 봄철이면 진달래 가 만발하는 산이다.
특히 유양동에는 옛 양주군 관아지를 비롯해 문화 유적들도 산재, 자녀교육을 겸한 나들이 장소로 제격이다.
또한 산 중턱에는 신라 때 도선국사가 창건했다는 백화암이 있다.
백화 암 밑에 있는 약수터는 가뭄에도 물이 줄지 않고 혹한에도 얼지 않는다고 전한다.
백화암 에서 정상으로 가는 길은 험한 편이다.
정상의 암벽 지대는 겨울철 눈이 내리면 위험한 코 스다.
정상에 오르면 사방이 탁 트여 양주시와 의정부시를 한 눈에 볼 수 있다.
유양리에 는 양주목사가 4백여년간 행정을 펴던 동헌과 경기도 유형문화재 제82호인 어사대비,
양주 향교(경기도 문화재 자료 제2호),
양주별산대놀이(국가 무형문화재 제2호) 전수회관, 양주 목사가 휴식을 취하던 금화정,
경기도 기념물 제143호인 양주산성 등 문화재가 모여있다.
양주별산대놀이 마당에서는 4~10월까지 매주 토.일요일 오후 3~5시까지 상설공연과 깨끼춤 강습이 이루어진다.
또한 유양동 마을의 전통 순대는 유명하다.
등산객들이 하산길에 들러 소주를 곁들여 먹는 순대국이 별미다.
양주순대국전문, 원골전통순대국전문, 원조할매순대 국, 유양리토종순대국 등이 있다.
양주 불곡산 [문화일보]
‘산을 타는 재미가 모두 여기에 있다.’ 경기도 양주군 주내면의 불곡산(465m)은 서울근교에 있지만 그리 알려진 산은 아니다.
그러나 불곡산은 등산로가 아기자기한데다, 곳곳의 암릉을 타는 재미가 각별한 산이다.
겨울철 큰 산이 부담스럽다면 가볍게 차리고 부담없이 가볼만한 불곡산을 찾아가보자.
대중교통편도 괜찮고, 손수운전을 하더라도 등산과 하산로가 같은 도로쪽으로 이어져 있어 별 불편없이 다녀올 수 있다.
등산코스는 2가지. 양주시청과 유양초등학교를 지나 도로 오른편으로 나있는 등산로를 따라
백화암쪽으로 올라가서 정상을 밟고 상투봉을 지나서 대교아파트쪽으로 내려오거나,
임꺽정봉을 지나 반대편 사면 부흥사쪽으로 내려오면 된다.
두 코스 모두 산행시 간은 3시간 남짓이다. 대교아파트쪽으로 내려오는 것이 대중교통을 이용하거나 손수운전을 한 경우 더 편안하다.
등산로로 들어서 백화암까지는 지루한 시멘트길이 이어진다. 백화암에서 한숨 돌리고 정상을 향해서 흙길을 따라 올라간다.
능선길을 올라서면 철제계단과 아기자기한 암릉을 만난다. 암릉길은 다소 험하지만,
정상을 앞둔 암릉에는 줄이 매여있어 별 어려움없이 등산을 할 수 있다.
정상을 지나 북쪽으로 가면 능선길을 따라 상투봉을 만난다. 상투봉을 지나 대교아파트로 하산길에서는 아찔한 암벽을 만난다.
줄을 잡고 20여m가 넘는 암릉을 내려가야 하는데, 산을 타본 경험이 짧은 사람들은 다리가 후들거릴 정도.
가족 산행으로는 권할만 하지않지만, 성인들이라면 약간의 스릴을 즐기며 등산을 만끽할 수 있다.
그러나 겨울철 눈이 왔거나 얼음이 얼었을 때는 경험자와 동행해야 안전한 산행을 할 수 있다.
나지막한 산이지만 절대 얕볼 산은 아니다.
하산길에는 유양초등학교쪽에 몰려있는 유양리 순대국집을 놓치 지 말고 들러보자.
이곳에는 대략 5 - 6곳의 순대국집이 있는데, 감칠맛 나는 순대국을 말아내온다.
지하철로 의정부역까지 가서 20분간격으로 운행하는 의정부 - 유양리간 시내버스를 타면 30분정 도 소요된다.
버스에서 내리면 바로 백화암쪽으로 이어지는 시멘트길을 만난다 .
손수운전을 하는 경우, 3번국도를 타고 의정부를 거쳐 동두천 방면으로 가다가 검문소 지나
고가도로를 내려서자마자 나타나는 양주시청 건물앞에서 좌회전해 2km정도 들어가면 백화사쪽으로 가는 길을 만난다.
※ 기암괴석이 많은 코스를 오르는 삼진프라스틱 축사코스는 사유지로 인하여 길이 막혀있으므로 청성교회쪽에서 올라야 한다
나는 산이 좋다.
누구는 산이 거기 있어 오른다 하고
누구는 산이 나를 불러 오른다 한다.
나는 산이 좋아서 오른다.
그저 좋아서 오른다.
그래서 나는 오늘도 산을 오른다.
[11.16] 축령산 주자창 (0) | 2008.11.17 |
---|---|
축령산(서리산) (0) | 2008.11.16 |
[11.02] 임꺽정봉~450봉~420~유양공단 (0) | 2008.11.03 |
[11.02] 물개바위~420~450~임꺽정봉~로프~회유 (0) | 2008.11.03 |
[11.02] 상봉~보루성~상투봉~물개바위 (0) | 2008.11.03 |
댓글 영역